1. 학교 교육의 비전 및 목표
2. 학교 경영 목표 및 방침
- 꿈과 희망이 영그는 HAENGBOK(행복) 교육
-
Health 건강한 신체를 가꾸는
교육행복 건강 증진 프로그램 운영 실천적인 보건교육 다양한 체육 증진 특별실 운영 Adaptability 적응력을 신장하는
교육심신 안정실 운영 자립생활훈련 사회적응훈련 장애극복활동 치료지원의 충실 통합교육 Emotion 감성Up 인성Up
교육음악 속 꿈이 자라는 학교 책으로 희망을 펼치는 독서교육 실천 중심 생활지도 체험 중심 인성지도 Nature 자연과 함께 하는
친환경 교육자연의 향기를 나누는 학교 아름다운 놀이터 Growing 꿈과 끼가 자라는
배움터꿈 플러스 끼 동아리 활동 교내외 대회 참가 알콩달콩 해피스쿨 운영 꿈과 끼가 자라는 축제 운영 꿈과 끼를 발산하는 전시회 예술단 초청 수업 문화를 나누는 장애인의 날 Balance 모두 함께 행복한
교육공동체학부모의 의견을 반영한 교육활동 열려 있는 학교 공개의 날 교사와 학부모의 원활한 의사소통 학교 알림 및 홍보 지역사회 협력체제 구축 Occupation 직업(Job)중점
학교 운영행복카페테리아 운영 교·내외 직업교육 실습 산업체 현장실습 유관기관과 협력 직업 중점교육 Keeping safe 안전한 교육환경
조성안전생활지도 학교 폭력 근절 활동 장애 인권강화 활동 코로나19 감염증 확산방지 및 예방
3. 학교 특색사업
-
실천 과제 실천 내용 학생 맞춤형
긍정적 행동지원• 학교 및 학급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전략 실행
• 개별 학생 차원의 행동 중재 전략 수립을 위한 교사 및 지원인력 연수 및 상시 협의회 운영
• 언양향교와 함께하는 예절교실 등을 포함한 범교과적 인성교육 프로그램 운영
• 교육주간 운영을 포함한 생명존중교육 및 상담 실시
• 외·내재적 도전행동 중재를 위한 행동 중재 컨설팅 및 각종 심리적 치유 프로그램의 통합적 운영
• 행동지원 및 중재를 위한 교육환경 및 교육자료 확충지역사회 유관기관과
연계한 진로직업교육• 전문 진로직업교육을 위한 유관기관과 협력
• 전문가 교류를 통한 맞춤형 교원 연수 실시
• 현장 중심 진로 설계 및 컨설팅
• 지역사회와 연계한 실습 및 취업 지원꿈과 희망이 자라는
예체능교육• 1인 1기 교육으로 다양한 잠재능력 발굴 및 개발
• 학교스포츠클럽(동아리활동)을 통해 장애극복의지 및 기초체력 함양
• 예술동아리 운영을 통한 예술체험 및 진로탐색 기회 제공
• 방과후교육활동으로 특기·적성 및 잠재력 개발
• 예술강사를 활용한 학교 예술교육 내실화
• 학교 교기(역도) 운영 및 학교체육활동 내실화
• ‘꿈키움 학예회’를 통한 발표기회 제공으로 자신감 고취 및 행복한 학교문화 조성
• 각종 예술대회 참가를 통한 학생들의 예술적 재능 발굴
• 지역사회와 연계한 학교예술교육 활성화
경 영 목 표 경 영 방 침 1.
바른 인성과
건강한 마음을
가진 행복한
학생을 기른다.(1) 기본예절 교육 강화 ◦ 바른 인사지도 ◦ 예절 교육 강화 ◦ 아름다운 언어생활 지도 ◦ 학교폭력 예방 ◦ 바른 식습관 지도 (2) 학생생활 교육 강화 ◦ 기초생활지도 강화 ◦ 모범학생 표창 ◦ 상담활동 강화 (3) 기초체력 단련 강화 ◦ 기초체력 단련 강화 ◦ 급별 순환운동 ◦ 요주의(비만)학생 특별 지도 2.
사회공동체
일원으로서의
서로 돕고
배려하는 학생을
기른다.(1) 봉사활동 운영 ◦ 주변 정리 정돈 ◦ 지역사회 봉사 활동 참가 ◦ 동아리활동을 통한 지도 ◦ 특기적성을 활용한 활동 ◦ 자발적, 자율적 봉사활동 (2) 협력․협동 활동 강화 ◦ 협력학습 지원 ◦ 협동심을 키우는 활동 ◦ 1:1 팀별 활동 지도 ◦ 소집단수업을 통한 활동 (3) 지역사회 연계 활동 강화 ◦ 우리 지역사회 역사, 문화, 환경 알기 ◦ 대인관계 기술 습득 (4) 방학프로그램 및 방과후학교 운영 ◦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구안․적용 ◦ 방학 중 계절학교 운영 3.
잠재된 능력과
기능을 개발하여
자립역량을
키우는 학생을
기른다.(1) 현장체험 및 사회적응 교육 내실화 ◦ 현장학습 ◦ 직업체험 ◦ 사회적응활동 ◦ 체육문화시설 활용 (2) 특기적성 개발을 위한 활동 ◦ 체육 특기 ◦ 등산 활동 ◦ 음악 훈련 ◦ 1인 1기능 연마 (3) 여가활용 능력 신장 ◦ 여가활용능력 신장 ◦ 예술 강사 운영 (4) 진로교육의 강화 ◦ 직업 특별실 운영 ◦ 기초 정보통신 교육 ◦ 직업태도 연마 (5) 교·내외 행사 및 대회 참가 기회 확대 ◦ 교외 정보화대회 ◦ 교내외 체육대회 ◦ 교내외 직업경진대회 ◦ 교내외 예술대회 (6) 치료지원 내실화 ◦ 운동재활 ◦ 일상생활재활 ◦ 언어재활 (7) 안전교육 강화 ◦ 통학버스 승하차 지도 ◦ 소방교육 및 재난대응훈련 ◦ 안전생활지도 ◦ 교내 체육시설 안전점검 ◦ 보건 위생 안전 지도